티스토리 뷰
[찬송가] 337장 내 모든 시험 무거운 짐을 (찬송가 해설 및 악보) 시련과 극복 찬송
ibuja 2025. 4. 20. 07:00목차
찬송가 337장 – 내 모든 시험 무거운 짐을
● 가사
1절
내 모든 시험 무거운 짐을
주 예수 앞에 아뢰이면
근심에 싸인 날 돌아보사
내 근심 모두 맡으시네
후렴
무거운 짐을 나 홀로 지고
견디다 못해 쓰러질 때
불쌍히 여겨 구원해 줄 이
은혜의 주님 오직 예수
2절
내 모든 괴롬 닥치는 환난
주 예수 앞에 아뢰이면
주께서 친히 날 구해 주사
넓으신 사랑 베푸시네
3절
내 짐이 점점 무거워질 때
주 예수 앞에 아뢰이면
주께서 친히 날 구해 주사
내 대신 짐을 져 주시네
4절
마음의 시험 무서운 죄를
주 예수 앞에 아뢰이면
예수는 나의 능력이 되사
세상을 이길 힘 주시네
● 작사·작곡 배경 이야기
"내 모든 시험 무거운 짐을"은 19세기 말 미국 복음주의 운동의 흐름 속에서 태어난 깊이 있는 위로의 찬송입니다.
작사자는 엘리자 에드먼즈 휴잇(Eliza E. Hewitt), 작곡은 존 스웨니(John R. Sweney)로, 두 사람은 많은 복음성가를 함께 만든 신앙적 동역자였습니다.
엘리자 휴잇은 어린 시절 척추 부상으로 침상에 누워 지냈지만, 그 고통의 시간 속에서 예수님 안에서 평안과 기쁨을 찾은 자신의 체험을 찬양으로 기록했고, 그 대표작이 바로 이 찬송입니다.
“무거운 짐을 나 홀로 지고 견디다 못해 쓰러질 때…”
이 고백은 수많은 성도들에게 삶의 깊은 공감과 치유의 은혜를 전해주었습니다.
● 찬송가 해설
이 찬송은 시험, 괴로움, 무거운 짐, 마음의 죄와 죄책감까지 모두 예수 앞에 내려놓고 주님의 위로와 구원을 경험하는 신앙 여정을 노래합니다.
- 1절: 인간의 연약함, 근심과 시험을 예수 앞에 솔직히 내어놓는 기도의 장면을 보여줍니다.
- 2절: 인생에 닥치는 환난 속에서 넓으신 사랑으로 구원하시는 예수님을 찬양합니다.
- 3절: 감당할 수 없을 만큼 무거워진 짐도 예수님이 친히 져 주신다는 믿음을 노래합니다.
- 4절: 마음 깊은 곳의 시험과 죄책감까지도 능력이 되시는 예수님 안에서 승리할 수 있다는 고백으로 마무리됩니다.
이 찬송은 자기연민의 고백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회복과 소망을 찾는 신앙인의 진실한 찬송입니다.
● 관련 성경구절
- 마태복음 11:28-30
“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 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 - 베드로전서 5:7
“너희 염려를 다 주께 맡기라 이는 그가 너희를 돌보심이라.” - 히브리서 4:15-16
“우리에게 있는 대제사장은 우리의 연약함을 동정하지 못하시는 이가 아니요… 그러므로 은혜의 보좌 앞에 담대히 나아갈 것이니라.” - 이사야 53:4
“그는 실로 우리의 질고를 지고 우리의 슬픔을 당하였거늘…”
● 묵상
“무거운 짐을 나 홀로 지고 견디다 못해 쓰러질 때…”
이 가사는 마치 오늘 하루를 살아가는 내 이야기 같다.
지치고 버거운 마음, 누구에게도 말하지 못한 시험과 근심…
하지만 이 찬송은 내 마음을 붙들어 세운다.
예수님께 아뢰면,
그분은 내 모든 무게를 함께 지시는 분이시다.
그리고 내가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사랑으로 감싸시는 분이다.
“예수는 나의 능력이 되사
세상을 이길 힘 주시네.”
이 찬양은 슬픔의 노래가 아니라,
소망과 회복의 선포이다.
오늘도 나는 예수님 앞에 내 짐을 내어 놓는다.
그리고 다시 일어난다.
'그리스도인의 삶 290-494 > 시련과 극복 336-345'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찬송가] 341장 십자가를 내가 지고 (찬송가 해설 및 악보) 시련과 극복 찬송 (0) | 2025.04.20 |
---|---|
[찬송가] 340장 어지러운 세상 중에 (찬송가 해설 및 악보) 시련과 극복 찬송 (0) | 2025.04.20 |
[찬송가] 339장 내 주님 지신 십자가 (찬송가 해설 및 악보) 시련과 극복 찬송 (0) | 2025.04.20 |
[찬송가] 338장 내 주를 가까이 하게 함은 (찬송가 해설 및 악보) 시련과 극복 찬송 (0) | 2025.04.20 |
[찬송가] 336장 환난과 핍박 중에도 (찬송가 해설 및 악보) 시련과 극복 찬송 (0) | 202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