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314장 내 구주 예수를 더욱 사랑
(More Love to Thee, O Christ / 주님을 향한 사랑의 고백)
■ 가사 전문
1절
내 구주 예수를 더욱 사랑
엎드려 비는 말 들으소서
내 진정 소원이 내 구주 예수를
더욱 사랑 더욱 사랑
2절
이 전엔 세상 낙 기뻤어도
지금 내 기쁨은 오직 예수
다만 내 비는 말 내 구주 예수를
더욱 사랑 더욱 사랑
3절
이 세상 떠날 때 찬양하고
숨질 때 하는 말 이것일세
다만 내 비는 말 내 구주 예수를
더욱 사랑 더욱 사랑 아멘
■ 찬송가의 배경과 역사
작사: 엘리자베스 프렌티스 (Elizabeth Prentiss, 1818–1878)
작곡: 윌리엄 도안 (William H. Doane, 1832–1915)
이 찬송은 엘리자베스 프렌티스가 두 자녀를 잃은 깊은 슬픔 가운데에서 지은 시입니다.
그녀는 고통 가운데서도 “내가 주님을 더 사랑하게 하소서”라고 고백하며 이 찬송을 지었고, 이는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회개와 헌신, 믿음의 고백을 위한 찬송으로 널리 사랑받고 있습니다.
이 곡은 고통 속의 찬양, 죽음 앞의 평안, 예수님을 향한 절대적 사랑 고백을 담고 있으며, 한국 교회에서는 은혜의 밤, 수요예배, 성찬예배, 장례식, 묵상 찬양에 자주 사용됩니다.
■ 찬송가 해설
이 찬송은 한마디로, 예수님만을 더 사랑하기 원하는 깊은 영적 열망의 찬양입니다.
- 1절: “엎드려 비는 말, 내 진정 소원이”라는 표현은 겸손과 진실된 기도의 자세를 보여줍니다.
- 2절: 이전에는 세상의 즐거움이 좋았지만, 이제는 예수 그리스도만이 유일한 기쁨임을 고백합니다.
- 3절: 죽음을 앞둔 순간에도 “더욱 사랑”을 고백하는 믿음의 절정—이 찬송의 절정이자 묵상의 클라이맥스입니다.
이 찬송은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내면의 신앙 감정과 회개의 마음을 아름답고도 절절하게 담아냅니다.
■ 관련 성경구절
- 요한복음 21:17
- “주님께서 모든 것을 아시오며... 내가 주를 사랑하는 줄을 주께서 아시나이다”
→ 예수님을 더욱 사랑하는 베드로의 고백과 찬송의 주제가 일치합니다. - 마태복음 22:37
- “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
→ “더욱 사랑”의 신앙적 핵심 구절입니다. - 시편 73:25–26
- “하늘에서는 주 외에 누가 내게 있으리요... 땅에서는 주밖에 사모할 이 없나이다”
→ 2절의 내용과 직결됩니다. - 로마서 8:38–39
- “그 어떤 것도 우리를 우리 주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하나님의 사랑에서 끊을 수 없으리라”
→ 3절의 죽음 앞에서도 변치 않는 사랑의 고백과 연결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