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찬송가] 257장 마음에 가득한 의심을 깨치고
    [찬송가] 257장 마음에 가득한 의심을 깨치고 (찬송가 해설 및 악보)

    257장 마음에 가득한 의심을 깨치고

    (1) 마음에 가득한 의심을 깨치고 지극히 화평한 맘으로
    찬송을 부름은 어린 양 예수의 그 피로 속죄함 얻었네

    후렴: 속죄함 속죄함 주 예수 내 죄를 속했네 할렐루야
    소리를 합하여 함께 찬송하세 그 피로 속죄함 얻었네

    (2) 금이 나은 같이 없어질 보배로 속죄함 받은 것 아니오
    거룩한 하나님 어린 양 예수의 그 피로 속죄함 얻었네

    (3) 나 같은 죄인이 용서함 받아서 주 앞에 옳다 함 얻음은
    확실히 믿기는 어린 양 예수의 그 피로 속죄함 얻었네

    (4) 거룩한 천국에 올라간 후에도 넘치는 은혜의 찬송을
    기쁘게 부름은 어린 양 예수의 그 피로 속죄함 얻었네


    찬송가 배경 역사와 해설

    257장 ‘내 마음에 가득한 의심을 깨치고’는 복음 찬송가의 대표곡 중 하나로,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로 인해 얻은 속죄의 확신과 기쁨을 주제로 한다. 이 곡은 미국 복음성가 작가 엘비나 M. 홀(Elvina M. Hall, 1820~1889)이 작사하고, 존 T. 그레이프(John T. Grape)가 작곡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찬송가는 구원의 확신이 부족한 이들을 향해 예수 그리스도의 피가 얼마나 충분하고 완전한 속죄를 이루었는지를 선포하며, 마음속 의심을 물리치고 찬양으로 나아가게 하는 영적 선언이다. 찬송의 중심에는 ‘어린 양 예수의 그 피’라는 반복적 고백이 있는데, 이는 요한계시록과 요한복음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복음의 핵심 상징이다.

    1절은 내면의 의심과 혼란을 깨트리는 평안의 원천이 예수 그리스도의 피라는 고백이다. 구원의 확신을 찬양하는 기쁨의 고백으로 시작되며, 후렴에서 모든 성도가 함께 찬양해야 할 이유를 강조한다.

    2절에서는 속죄가 금이나 보석과 같은 물질적인 것으로 이뤄진 것이 아니라, 거룩한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으로 이루어졌음을 선언한다.

    3절은 자기 자신이 죄인임을 인정하며, 하나님 앞에서 ‘옳다 함’을 받았다는 칭의의 은혜를 고백한다. 구원이 전적인 은혜로 주어진다는 복음의 본질이 드러난다.

    4절은 이 땅에서뿐만 아니라 천국에서도 계속될 찬양의 이유가 예수의 피로 인한 속죄임을 밝히며, 영원한 감사의 노래가 되리라 고백한다.

    이 곡은 속죄와 구원의 확신을 노래하는 대표적인 찬송으로, 부흥회, 고난주간, 성찬식, 혹은 개인의 경건회복 시간에 자주 불린다. 단순하지만 깊이 있는 가사와 반복적인 후렴은 회중으로 하여금 마음 깊이 복음을 고백하고 체험하게 하는 힘이 있다.


    관련 성경구절

    • 이사야 1장 18절
      “여호와께서 말씀하시되... 너희 죄가 주홍 같을지라도 눈과 같이 희어질 것이요...”
    • 요한일서 1장 7절
      “그 아들 예수의 피가 우리를 모든 죄에서 깨끗하게 하실 것이요”
    • 베드로전서 1장 18~19절
      “너희가 알거니와... 은이나 금같이 없어질 것으로 된 것이 아니요... 흠 없고 점 없는 어린 양 같은 그리스도의 보배로운 피로 된 것이니라”
    • 로마서 5장 9절
      “그러면 이제 우리가 그의 피로 말미암아 의롭다 하심을 받았으니...”
    • 요한계시록 1장 5절
      “...우리를 사랑하사 그의 피로 우리 죄에서 우리를 해방하시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