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찬송가] 254장 내 주의 보혈은
    [찬송가] 254장 내 주의 보혈은

     

    🎼 찬송가 254장 - "내 주의 보혈은"

    (원제: "Come to the Fountain")

    📜 가사

    1절
    내 주의 보혈은 정하고 정하다
    내 죄를 정케하신 주 날 오라 하신다

    후렴
    내가 주께로 지금 가오니
    십자가의 보혈로 날 씻어주소서 아멘

    2절
    약하고 추해도 주께로 나가면
    힘 주시고 내 추함을 곧 씻어주시네

    3절
    날 오라 하심은 온전한 믿음과
    또 사랑함과 평안함 다 주려 함이라

    4절
    큰 죄인 복 받아 살 길을 얻었네
    한없이 넓고 큰 은혜 베풀어 주소서

    5절
    그 피가 맘속에 큰 증거 됩니다
    내 기도 소리 들으사 다 허락하소서


    📚 찬송가의 배경과 역사

    • 작사·작곡자:
      이 찬송은 **루이스 하츠호른 (Lewis T. Hartsough, 1828–1919)**이 작사·작곡한 복음 찬송입니다.
      그는 감리교 전도사이자 찬송 작곡가로, 간결하면서도 깊은 복음의 메시지를 담은 찬송들을 많이 남겼습니다.
    • 역사적 배경:
      이 찬송은 19세기 미국의 부흥운동, 특히 ‘재림 부흥운동’과 ‘감리교 부흥회’에서 자주 불렸던 복음 찬송입니다.
      당시에는 사람들에게 회개와 회복의 기회를 주는 ‘초청 찬양(Invitation Hymn)’으로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 초청의 찬양:
      이 찬송은 예배의 마지막에 회개자나 결단자를 앞으로 부를 때 부르는 곡으로 자주 사용되었으며, “Come as you are”라는 복음의 본질을 잘 보여줍니다.

    ✝ 해설 및 신학적 의미

    이 찬송은 전적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에 의지해 회개하고 나아가는 성도의 모습을 그리고 있습니다.

    • 1절그리스도의 보혈이 죄를 깨끗하게 씻어주신다는 복음의 중심 진리를 선언합니다.
    • 2절은 인간의 약함과 추함을 숨기지 않고 드러내며, 그 모습 그대로 나아가는 믿음을 강조합니다.
    • 3절은 주님께서 우리에게 믿음, 사랑, 평안을 주시기 위해 초청하신다는 은혜를 노래합니다.
    • 4절큰 죄인에게도 베푸시는 하나님의 넓은 은혜를 고백하며,
    • 5절은 보혈의 증거가 내면의 확신과 기도 응답으로 나타남을 말합니다.

    이 찬송은 단순한 “회개송”을 넘어서, 죄인의 회복과 은혜 안에 사는 삶을 찬양하는 복음의 전인적 표현이라 할 수 있습니다.


    🔍 관련 성경구절

    📖 요한일서 1:7

    “그가 빛 가운데 계신 것 같이 우리도 빛 가운데 행하면 우리가 서로 사귐이 있고 그 아들 예수의 피가 우리를 모든 죄에서 깨끗하게 하실 것이요”

    • → 찬송가 1절 “내 죄를 정케하신 주”의 핵심 근거 말씀입니다.

    📖 히브리서 9:14

    “하물며 영원하신 성령으로 말미암아 흠 없는 자기를 하나님께 드린 그리스도의 피가 어찌 너희 양심을 죽은 행실에서 깨끗하게 하고...”

    • → 보혈의 능력은 외적 죄뿐 아니라, 내면의 양심까지도 새롭게 합니다.

    📖 누가복음 15:20

    “그 아들이 아직도 멀리 떨어져 있을 때에 그 아버지가 그를 보고 불쌍히 여겨 달려가 목을 안고 입을 맞추니”

    • → 이 찬송의 흐름은 탕자의 비유와도 맞물립니다. 아무리 죄가 커도, 돌아가기만 하면 용서하시는 하나님의 사랑이 바로 보혈의 본질입니다.

    📖 이사야 1:18

    “여호와께서 말씀하시되 오라 우리가 서로 변론하자 너희 죄가 주홍 같을지라도 눈과 같이 희어질 것이요...”

    • → "날 오라 하신다"는 가사처럼, 하나님은 늘 먼저 초청하십니다.

    🪔 묵상 포인트

    • 나의 삶 속에서 보혈의 능력을 얼마나 믿고 의지하고 있는가?
    • 나는 회개와 용서를 받은 자로서, 누군가를 다시 품을 준비가 되어 있는가?
    • 찬송 속의 “오라 하신다”는 주님의 초청에 나는 오늘 어떻게 응답할 것인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