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찬송가] 227장 주 앞에 성찬 받기 위하여
    [찬송가] 227장 주 앞에 성찬 받기 위하여 (찬송가 해설 및 악보)

     

    📖 227장 주 앞에 성찬 받기 위하여

    (Communion Hymn / 성찬의 은혜를 고백하는 찬송)


    🎼 가사 전문

    1절
    주 앞에 성찬 받기 위하여
    이 죄인 감히 나아옵니다
    주 공로 믿고 떨며 나오니
    내 죄를 용서하여 주소서

    2절
    죄 길로 나가 방황했으나
    주 앞에 감히 돌아옵니다
    자녀될 자녀 내게 없어도
    주 나를 용납하여 주소서

    3절
    한번만 주의 음성들어도
    그 말씀 내게 능력되어서
    이 세상 마귀 유혹 이기고
    원수의 비방 막게 됩니다

    4절
    온유한 주의 음성 듣고서
    죄인은 와서 쉬임 얻으며
    성도들 함께 참여하여서
    베푸신 잔치 먹게 됩니다

    5절
    기도와 찬송 주께 드리고
    주님의 떡과 잔을 받으니
    내 맘에 주여 들어오셔서
    주 말씀 따라 살게 하소서 아멘


    ✝️ 찬송가 해설

    이 찬송은 성찬에 참여하는 성도가 드리는 겸손한 회개, 은혜에 대한 감사, 새 삶에 대한 결단을 고백하는 깊이 있는 찬양이다.
    1절은 죄인된 자가 오직 주님의 공로를 의지하여 성찬에 나아가며 죄사함을 간구하고,
    2절은 죄의 길에서 돌아와 자녀로 받아주기를 구한다.
    3절은 주의 말씀 한 마디가 죄와 세상 유혹을 이기게 하는 능력이 됨을 선포하고,
    4절에서는 성찬을 통해 죄인이 쉼을 얻고 성도들과 함께 은혜의 잔치에 참여함을 감사한다.
    5절은 떡과 잔을 받으며 주님이 내 마음에 거하시고 말씀대로 살기를 소망하며 마무리된다.

    이 찬송은 성찬예배, 고난주간, 회개와 헌신의 예배, 신앙 결단의 시간에 깊은 묵상과 고백을 이끌어내는 찬송으로 많이 불린다.


    📜 찬송가 배경

    이 찬송은 한국 교회의 전통적인 성찬 찬송의 흐름을 따르면서, 개인적인 회개와 공동체적 참여의 균형을 담아낸 현대 창작 찬송이다.
    특히 "감히 나아옵니다"와 같은 표현은 성찬 앞에 선 성도의 떨림과 경외, 동시에 그리스도의 용납을 믿는 믿음을 절묘하게 표현한다.
    떡과 잔을 받는 행위가 단순한 의식이 아니라 삶의 실제 변화로 이어지기를 바라는 고백적 찬양이라는 점에서, 성찬 예배의 깊이를 더하는 곡이다.


    📖 관련 성경구절

    고린도전서 11:28
    사람이 자기를 살피고 그 후에야 이 떡을 먹고 이 잔을 마실지니
    → 1절 “이 죄인 감히 나아옵니다”

    누가복음 15:21
    아버지여 내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지었사오니…
    → 2절 “죄 길로 나가 방황했으나 주 앞에 감히 돌아옵니다”

    요한복음 6:53
    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지 아니하면 너희 속에 생명이 없느니라
    → 4절 “성도들 함께 참여하여서 베푸신 잔치 먹게 됩니다”

    요한계시록 3:20
    볼지어다 내가 문 밖에 서서 두드리노니… 그와 더불어 먹고 그는 나와 더불어 먹으리라
    → 5절 “내 맘에 주여 들어오셔서 주 말씀 따라 살게 하소서”

    반응형